[신인섭 칼럼] 한국 최초의 카드카운팅회사 한성카드카운팅사(漢城廣告舍)의 111년 전 신문카드카운팅

[신인섭 칼럼] 한국 최초의 카드카운팅회사 한성카드카운팅사(漢城廣告舍)의 111년 전 신문카드카운팅

  • 신인섭 대기자
  • 승인 2020.10.21 0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10년 8월 29일한일합병 한 달 전, 한성카드카운팅사라는 회사의 “제신문 잡지 카드카운팅 취급(諸新聞雜誌廣告取扱)”이라는 자그마한 카드카운팅가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에 게재되었다. 동그라미 테두리를 만들어서 눈에 뜨이게 만든 카드카운팅이다. 주소는 외상사동 25통 10호이다. 설멍할 필요도 없이 여러 신문과 잡지에 카드카운팅 대행을 한다는 내용이다.

위: 1919년 7월 7일 대한매일신보. 아래 왼 쪽부터: 1911년 6월 27일, 7월 6일, 7월 12일 매일신보
[그림 1] 1919년 7월 7일 대한매일신보 (위) /
1911년 6월 27일, 7월 6일, 7월 12일 매일신보 (아래 왼쪽부터)

그런데 이 회사는 그 뒤 한일합병 후 “대한”이 빠지고 그냥 “매일신보(每日申報)”로 되어 일본총독부 국문 기관지가 된 신문에 카드카운팅를 여러 차례 게재한다.

달라진 것은 카드카운팅가 조금 더 커진 것과 주소 변동, 전화가 생긴 일 그리고 업종이 신문 잡지 카드카운팅 취급이 아니라 금고판매, 유성기(축음기), 은행, 화사 주권 매입으로 바뀐 것이다. 아마도 바뀌었다기보다 그런 사업을 추가했다는 것이 옳지 않을까 싶다. 다른 것은 몰라도 1910년에 전화가 있다는 것은 큰 회사라는 의미도 된다.

그러면 카드카운팅대행은 그만 두었는가? 그렇지 않다는 것이 한성카드카운팅사가 발기(發起)한 부록 카드카운팅에서 나타난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1910년 9월 27일 두 페이지카드카운팅와 11월 29일의 카드카운팅이다. (아마 찾으면 더 있을 것이다.)

카드카운팅
[그림 2]1910년 9월 27일 매일신보 부록으로 게재된 카드카운팅 모음 및 <경성 종로 카드카운팅판 제조점의 카드카운팅
카드카운팅
[그림 3] 191년 11월 29일 매일신보

[그림 2]와 [그림 3]의 부록이라 부른 전단 같은 카드카운팅 우측 상단 테두리 밖에는 손가락 그림 옆에 “발기자 한성카드카운팅사(發起者 漢城廣告)‘라는 글이 있어서 이 여러 카드카운팅를 모아 신문에 부록으로 게재했음을 알 수 있다. 신문에 1단 카드카운팅를 게재함과 동시에 카드카운팅주를 설득해서 특집 부록을 게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에 빨간 줄 친 카드카운팅는 경성(서울) 종로에 있던 카드카운팅판 제조점이라는 간판 카드카운팅회사의 카드카운팅가 있다. ”본점에서 각종 카드카운팅판을 제조함“이라는 말 다음을 보면 각색, 미술 자형(字形), 미술 카드카운팅판, 미술 인형 등도 제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비술사를 데리고 와도 무방하다는 말과 지방에서 주문하는 경우 운송부로 대금을 보내도 된다는 말이 있다.

1897년 서재필 박사가 독립신문을 창간한 뒤 신문카드카운팅 요금 제도는 서구식으로 카드카운팅량과 게재 빈도에 따른 단가 할인제(Volume & Frequency Rate)가 관례로 정착했다. 그것은 독립신문 뿐 아니라 황성신문, 제국신문의 카드카운팅요금 발표에서도 같은 제도였음이 나나타고 있다.

그런데 조선총독부 한국어 기관지가 된 매일신보의 카드카운팅 요금표도 합병 후 2여년은 서구식 제도였으나, 1913년부터는 카드카운팅주별로 비밀단가 제도로 바뀌었다. 즉 낙후된 불합리한 일본식 제도로 변화한 것이다. 한국의 신문이 여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카드카운팅요금 제도는 일제시대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일본은 이미 1960년대 이래 줄곧 합리적인 서구제도를 본따서 이제는 카드카운팅주별비밀단가제는 옛말이 되었다. 물론 당사자인 신문의 역할도 있었으나,이런 변화의 선두에는 카드카운팅회사가 있었다.

한성카드카운팅사는 이제 역사의 유물이 되었다. 한국 최초의 카드카운팅회사가 남긴 교훈이 있다면 우리도 일제시대에 어엿한 카드카운팅회사가 있어서 일본 바깥 카드카운팅의 세계를 내다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다. (한성카드카운팅사에대한 연구는 아직 미완성이다.)


신인섭(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초빙교수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