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드타임스 채성숙 기자]한국의 MZ세대 10명 중 7명이 ‘환경을 생각해 크랩스으로 식탁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세계푸드는 지난달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2030세대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크랩스 인식과 관련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이 같은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크랩스은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가치소비가 자리 잡으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래산업 중하나이다. 특히 핵심 소비층인 MZ세대를 중심으로 환경과 동물 복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2040년에는 글로벌 크랩스 시장이 일반 육류 시장의 점유율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번 조사에 그대로 반영됐다.글로벌 경영 컨설팅 기업 에이티커니(AT Kearney)는 일반 육류의 시장 점유율이 2025년 90%에서 2030년 72%로 줄고, 2040년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소비되는 육류의 60%를 크랩스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MZ세대는 크랩스에 대해서 67.6%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향후 크랩스으로 음식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환경을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71.4%로 가장 높게 나왔다.
또한 53.2%가 크랩스의 소비가 공장식 사육 등 동물복지 문제 근절에 도움이 된다고 답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환경,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크랩스의 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크랩스의 소비 행태 또한 확인됐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크랩스을 경험해 본 적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42.6%로 MZ세대 10명 중 4명은 크랩스을 섭취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중 대부분은 대형마트(37.6%)나 일반 식당(33.6%)에서 크랩스을 소비했다고 답했다.
경험해 본 크랩스 종류로는 샌드위치나 샐러드에 들어가는 햄 등의 돼지고기 크랩스(40.6%)이 가장 높았고, 햄버거 패티 등에 들어가는 소고기 크랩스(34.5%)의 경험이 다음으로 많았다.
크랩스 시장의 확장 가능성도 확인됐다. 아직 크랩스을 경험해 보지 못한 대상 중 앞으로도 경험해 볼 의향이 없다고 밝힌 응답자는 21.8%에 그친 반면, 78.2%의 응답자가 크랩스을 먹어본 경험은 없지만 향후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답했다.
반면 맛과 식감은 소비를 주저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먹어본 경험이 있지만, 앞으로 크랩스을 찾을 의향이 없다고 선택한 응답자 중 72.3%가 크랩스의 맛과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응답해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는 것이 향후 크랩스 시장의 성장을 위한 개선 과제로 남았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미래 소비층인 MZ세대 중심의 소비자 입맛을 잡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를 이어 나갈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요리에 활용 가능한 크랩스 제품을 개발해 소비 만족도를 높이고 크랩스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신세계푸드는 지난해 독자 기술로 개발한 크랩스 브랜드 ‘베러미트(Better Meat)’ 샌드위치용 햄 ‘콜드컷’을 활용해 스타벅스와 함께 ‘플랜트 햄&루꼴라 샌드위치’ 제품을 개발, 1월 기준 누적 판매량 30만 개를 기록하면서 크랩스을 선호하는 MZ 세대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지난해 12월부터는 서울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SK텔레콤 구내식당에서도 크랩스 ‘베러미트’를 활용한 메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등 국내 크랩스 시장 확대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
